▶ 창조원리를 통한 치료방법
지금까지의 의학이나 약학으로는 아토피성 피부병을 치료할 수 없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창조원리를 살펴서 그 원리에 맞는 치료방법을 찾아서
철저하게 따르기만 하면 의외로 쉽게 치료할 수 있다.
진정한 치료는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는 것이어야 한다.
원인은 가만히 두고 증상만 완화시켜보려는 자세로는 치료할 수 없다,
아토피 피부병은 원인이 음식물과 환경에 있기 때문에 음식을 바꾸어야 한다.
음식을 바꾸지 않는 한 아토피 피부병은 절대로 치료할 수 없다.
따라서 병원이나 약국에서는 아토피를 영원히 지료할 수 없을 것이다.
아토피를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는 환자의 입에 들어가지 말아야 할 음식을 차단하는 일이다.
둘째는 환자가 꼭 섭취해야 할 음식물을 구하여 성실하게 먹는 일이다.
셋째는 생활습관과 환경 조건 몇 가지를 철저하게 지키는 것이다.
■차단해야 할 물질(음식이라 할 수도 없다)
01. 고기 생선 우유 계란 등의 음식을 완전히 차단한다.
02. 미국산 밀가루로 만든 모든 음식을 차단한다.
03. 미국산 옥수수로 만든 모든 식품을 차단한다.
04. 각종 과자류와 빙과류, 등을 완전히 차단한다.
05. 햄버거, 피자, MSG가 들어 있는 식품들을 차단한다.
06. 콜라, 사이다, 드링크 종류를 완전히 차단한다.
07. 잘못된 된장과 젓갈김치 등을 완전히 차단한다.
08. 오징어 낙지 문어 등과 조개류와 갑각류를 차단한다.
■챙겨서 먹어야 할 음식
01. 유기농으로 재배한 과일들을 골고루 먹는다.
02. 유기능으로 재배한 채소와 과채와 근채를 자주 먹는다.
03. 천연 엽록소가 풍부한 진녹색 채소를 먹게 한다.
04. 가장 중요한 것은 미네랄 소금을 충분히 먹게 한다.
05. 식후 1시간 정도 되어서 맑은 물을 충분히 마신다.
06. 신선한 유기농 통곡식(현미밥, 통밀빵, 호밀빵)을 먹는다.
07. 콩 종류와 견과류와 호박씨 해바라기씨 아몬드를 먹는다.
08. 미역과 다시마 김과 파래 톳과 같은 해조류를 먹는다.
■고쳐야 할 생활습관
01. 일이나 공부가 짐이 되지 않게 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
02. 모든 빛이 차단된 곳에서 7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한다.
03. 플라스틱이나 비닐 제품 등 석유화학제품을 멀리한다.
04. 피부에 직접 닫는 의복이나 침구류를 천연 섬유로 바꾼다.
05. 건축 내장 마감재는 천연 목재, 석재, 유리, 돌, 황토로 바꾼다.
06. 실내 공기를 하루에 한 두번씩 환기하여 신선한 공기를 마신다.
07. 주방에서 사용하는 그릇들을 사기, 유기, 유리, 스테인리스로 바꾼다.
08. 맑은 공기를 심호흡하고 햇볕을 매일 1시간 정도 쪼인다.
위에 기록한 모든 것을 다 합하면 24가지다.
각각 8 가지 씩 제시한 것들을 성실하게 지키면 건강이 회복될 수 있다.
이렇게 하기를 3개월 내지 6개월을 철저하게 지켜 나가면 아토피는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식단은 사실 평생 지켜나가야 할 좋은 식단이다. 그렇게 하면 아토피는 물론
알러지 비염이나 알러지 체질까지 완전히 바뀌게 되고 약을 쓰지 않고 낳을 수 있다.
당분이나 단백질이나 동물성 지방질을 조금만 많이 섭취하여도 재발할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 알러지, 고혈압, 당뇨병 환자라면 위의 원칙을 꾸준하게 지켜 나가면
이 모든 질병들로부터 완전히 자유할 수 있다.
이렇게 창조원리에 따른 방법으로 치료된 후에는 집먼지 진드기가 있어도
아무런 상관이 없고 꽃가루가 날리고 계절이 바뀌고 해도 아무 상관이 없다.
지나치게 당분을 섭취하게 된 것이 제 1원인이요 단백질과 지방질 식품첨가물이
우리의 세포를 파괴하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아토피와 알러지가 없는 세상을 위하여 .......!
샬 롬
'스크렙 > 가벼운이야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재인 대통령이 되었고 새로운 시대가 열렸습니다. (0) | 2017.05.15 |
---|---|
거짓말하는 정당과 정치인은 국회에서 내쫓아야! (0) | 2015.02.07 |
교황이 신은 신앙 없어도 양심에 따르는 사람을 용서. (0) | 2013.09.17 |
일간베스트라는 희안한 사이트에 들어가봤다.... (0) | 2013.06.09 |
우리가 이 시대를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것인가! (0) | 201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