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2007-08-24 21:59:20]
|
‘빈자의 성녀(聖女)’ 테레사 수녀도 내면 세계에서는 ‘신의 부재’로 갈등을 겪었던 것을 보여주는 편지가 공개됐다. 테레사 수녀는 1979년 9월쯤 정신적 동지인 미하일 반 데어 페트 신부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신은 당신을 매우 특별히 사랑하십니다. (그러나) 나에게는 그 침묵과 공허가 너무 큽니다. 나는 보려 해도 볼 수 없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으며 (기도할 동안) 혀를 움직이려고 해도 말할 수 없습니다. 당신이 나를 위해 기도해주시길 원합니다.” 그러나 같은해 11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테레사 수녀는 시상식장에서 “예수는 우리 안에 있고, 우리가 만나는 빈자들 안에도 있고, 우리가 주고받는 미소 안에도 있다”고 말했다. 노벨상 수상식 연설이 세상이 알고 있는 테레사 수녀의 전형적 모습이라면 페트 신부에게 보낸 편지는 자기 실존에 대해 의문을 던지며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담고 있는, 자기 모순적인 것이라고 타임은 분석했다. 테레사 수녀는 59년 쓴 편지에서는 ‘무미건조함’ ‘어둠’ ‘외로움’ ‘고문’이 그녀를 끊임없이 괴롭히고 있다고 밝히면서 지옥에서의 경험과 비교했다. 또 자신의 내면 세계와 밖으로 보이는 모습 사이의 불일치를 알고 있다면서, “미소는 모든 것을 감추는 가면이거나 외투”라고 썼다. 타임은 테레사 수녀의 편지들로 비추어 48년 빈민을 돌보는 삶을 시작한 때부터 죽을 때까지 이같은 고통에 시달린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정선기자〉-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이단연구 > 로 만 카 톨 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만카톨릭에는 구원이 없습니다. (0) | 2007.08.30 |
---|---|
신의 존재에 의구심을 품었든 테레샤 수녀! (0) | 2007.08.25 |
바티간의 교회론과 예수분별 (0) | 2007.08.23 |
알파코스에 대한 또다른 시각... (0) | 2007.08.22 |
알파.셀.G12 "신학적 논란을 말한다" (0) | 2007.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