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언약의 성취
김성윤: 목사님, 앞 시간에 출애굽을 기념하여 세운절기인 유월절에 관해 말씀 나눴습니다
노우호: 예, 오늘은 애굽에서 탈출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살피려고 합니다 출애굽기의 주제는 애굽에서 탈출하는 것이 가장 큰 주제가 되겠죠 요셉이 애굽에 들어간 후 모세가 이스라엘 사람들을 인도하여 탈출할 때 까지 430년 정도 된다고 합니다 애굽에서 430년을 지내는 동안 거의 애굽 사람이 되어 있었는데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약속하신 것을 반드시 이루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창세기 15장 13절에 보면
[창세기]
15:13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정녕히 알라 네 자손이 이방에서 객이 되어 그들을 섬기겠고 그들은 사백 년 동안 네 자손을 괴롭게 하리니
15:14 그 섬기는 나라를 내가 징치할지며 그 후에 네 자손이 큰 재물을 이끌고 나오리라
15:15 너는 장수하다가 평안히 조상에게로 돌아가 장사될 것이요
15:16 네 자손은 사 대 만에 이 땅으로 돌아 오리니 이는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아직 관영치 아니함이니라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아모리 족속이란? ‘아모리’라는 뜻은 ‘산중사람’ 은 ‘산에서 사는 사람’ 이라는 뜻인데 이들은 함의 손자중의 한명이고 가나안의 아들 중에 한명입니다
이스라엘백성이 출애굽하여 들어 간 땅을 가나안 땅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김성윤: 예,
노우호: 가나안이 낳은 아들 11명이 있는데 장자는 시돈이고 둘째가 헷(힛타이타) 족속 셋째가 여부스 족속 넷째가 아모리 족속 다섯째가 기르가스 족속 여섯째가 히위 족속 일곱째가 알가 족속 여덟째가 신 족속 9번째가 이르왓 족속 10번째가 스말 족속 11번째가 하맛 족속 사람들은 가나안에 가나안 7족만 살고 있었다고 알고 있는데 물론 7족속이 강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가나안 족속은 11족속입니다
노아가 포도주를 먹고 취해서 하체를 드러내고 주무시는 부끄러운 모습을 보였는데 이것을 본 둘째아들 함이 자기 형제들에게 가서 아버지의 실수를 고자질 했나 봐요 그런데 야곱과 셈은 옷을 가지고 뒷걸음질 하여 아버지의 허물을 덮어주는 장면이 나오죠 그 때 노아가 깨어 일어나 아들들이 자기에게 한 일을 알고는 함의 아들 구스, 미스라임, 붓, 가나안 중에 가나안을 저주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 저주가 훗날 가나안의 아들에게 임하게 되는데 성경에는 노아의 손자 함의 아들인 가나안이 저주 받은 것은 보이지 않고요 가나안의 후손들이 저주 받은 것이 보입니다 가나안의 후손으로 시돈, 헷, 여부스, 아모리, 기르가스, 히위, 알가, 신, 이르왓, 스말, 하맛 이렇게 11명이 가나안땅 전체를 차지한 것이죠 성경을 잘 알지 못하는 서양신학자들이 검둥이 들은 흰둥이의 종노릇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성경을 잘못 이해한 사람입니다 성경에는 가나안과 가나안 아들들만 잠깐 저주한 것으로 함의 모든 자손이 저주 받은 것도 아니고 그리고 또 자손 대대로 저주받은 것도 아닙니다 잠깐 동안 그렇게 하신 것이죠
시돈, 헷, 여부스, 아모리 족속이 가나안 11족속 중에서도 강한 족속인데 이들 중 가장 강한 족속이 아모리, 여부스, 헷족속입니다 여부스 족속의 경우 여호수아 시대에도 없어지지 않았고 다윗왕 시대까지 남아있었습니다 다윗이 여부스가 살던 예루살렘을 빼앗아 그곳을 예루살렘 혹은 다윗성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니까 가나안 족속 중에서 여부스와 아모리 족속은 특별히 강한 족속입니다 그리고 헷 족속은 철기문화를 일찍 꽃피웠던 족속으로 오늘날 세계 문화사에도 기록되어 있는 족속이죠 그리고 오늘날 쓰는 영어의 알파벳도 헷 족속에게서 나온 것이라고 합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네 자손이 애굽에서 이방인의 객으로 400년 동안 종살이를 할 것인데 4대 만에 이 땅으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
이는 아모리족속이 아직 관영치 아니함이라 하나님께서 아무 때든지 어떤 나라를 망할 수는 있지만 그렇게 아니하신다는 것입니다 아직 죄가 작은데 이유도 없이 그 나라를 멸망시킬 수 없다는 것입니다 아모리 족속의 죄가 충만하게 된다면 그 아모리 족속을 처벌하고 그 땅을 이스라엘백성이 차지하게 할 계획이 있는 것이죠
그러니까 적어도 아모리 족속의 죄가 관영해 져서 멸망시켜도 좋을 만큼 악해질 때까지는 400년간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것입니다 그동안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요셉을 통해 애굽에 이주시켜 아주 비옥한 삼각주인 고센 땅에서 400년동안 창대하고 번성하여 심히 창대하게 만들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런 역사의 큰 흐름을 보셔야 됩니다
창세기 15장에서 이미 아브라함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네 자손들이 이방인들에게 객이 되어 400년 동안 그들을 섬기게 할 것인데 때가 되면 섬기던 애굽을 내가 징치 할 것이고 종살이 하던 집에서 큰 재물을 이끌고 나오게 되어 가나안 땅을 차지 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아직 관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은 �아 낼 수 없고 400년 후가 되면 아모리 족속의 죄가 온 땅에 가득 차게 될 것이고 너희를 인도하여 그 땅을 차지하게 할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버릴 자식들이라도 그들에게 의가 있고 혹은 선을 행하면 함부로 취급하지 아니하시고 충분히 멸망시킬 수밖에 없는 시간까지 참으시고 기다려 주시는 하나님의 모습도 읽을 수가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에서 나온 후 하나님의 약속한 땅으로 가는데 이제는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충분히 관영해지므로 이스라엘 백성을 데리고 가서 아모리 족속을 멸망시킬 것인데 아모리왕 시혼이라는 사람을 아시죠?
김성윤: 예
노우호: 요단강 동편에 있었던 시혼과 바산왕 옥 여호수아가 요단강을 건너서 막게다 굴에 숨어 있는 아모리 다섯 왕을 끌어내어 죽이는 장면이 성경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아모리 족속을 진멸하는 이야기 입니다 아모리는 가나안 11족속 중에서 가장 강한 족속입니다 따라서 아모리의 왕 시혼은 더욱 강한 사람이겠죠 이 아모리 왕을 모세가 생존해 있을 때 잡아 죽였는데 이 소식이 가나안 땅 서편에 전해지니까 가나안 사람들이 이 소식을 듣고 간담이 녹았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신경전을 벌이는 것이죠 큰 역사를 행한 소문을 나게 해서 싸워보지도 않고 지레 겁을 먹도록 하고 풍문을 듣고 가나안 족속들을 떨게 만드는 하나님의 솜씨를 볼 수 있습니다
의인 노아가 둘째아들 함의 행위로 인하여 함의 아들 가나안을 저주 했는데 이들 가나안 족속은 온갖 우상숭배와 악이 가득한 생활을 하게 되었고 마침내 이스라엘 백성은 가나안 족속을 진멸하든지 종을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가나안 족속의 이야기는 사사기나 역사서에서 계속 나옵니다 이스라엘이 그레못 광야에서 가나안으로 진행하는 중에 그 도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부탁을 합니다 그런데 이들은 거절 할 뿐 아니라
오히려 군사를 보내서 대적하다가 이스라엘에게 크게 패하고 살육을 당하였는데 그때 아모리 수도가 헤스본입니다 헤스본을 수도로 정하고 강하게 버티고 있던 시혼이 모세와 여호수아 앞에서 꺼꾸러지니까 나머지 왕들이나 사람들이 벌벌 떨게 되었죠 여리고 사람들도 바산왕 옥이나 아모리왕 시혼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는 너희의 연고로 여리고성의 사람이 간담이 녹았다고 기생 라합의 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큰 풍문을 일으켜 듣게 하여 가나안 사람들이 오기 전에 떨게 만드는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모든 것을 경험한 이스라엘 백성이 뒤에 남긴 말이 전쟁에 능하신 여호와시다 만군이 여호와이시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도 전쟁은 여호와께 속한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전쟁을 원하시지 않지만 이스라엘을 세워 가나안의 악한 족속의 문화를 뿌리 뽑는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강을 건넜다는 소식을 듣고 가나안의 다섯 왕이 기브온에 군대를 모아 이스라엘을 대적하는데 여호와께서는 이들을 여호수아의 군대를 가지고 처치하는 것이 아니라 우박을 가지고 아모리 군대를 진멸 하십니다 아모리 족속 다섯 왕이 막게다굴에 숨어 있는 것을 여호수아가 따라가 죽였다는 내용이 여호수아 10장에 기록 되어 있습니다
고고학자의 문헌의 기록을 보면 초기 청동기 시대가 아모리인 문화가 꽃피는 시기라고 말 하고 있습니다 그 민족은 요단강 동편과 서편에 유력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고 히위 족속과 여부스 족속도 아모리 족속과 같은 족속으로 부르고 있는데 키는 백향목 같고 강하기는 참(상수리)나무로 표현한 강한 민족입니다
이들과의 전쟁 가운데 아이성 싸움이 있죠?
김성윤: 예,
노우호: 아간이라는 사람이 하나님께 바쳐진 물건을 훔친 것으로 그 전쟁에 패했던그 아이성도 아모리성에 속해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도움이 없을 때 아이성에게 패한 것을 보면 아모리가 강한 족속임을 부인 할 수 없죠 이스라엘 사람들은 애굽에서 탈출하여 아브라함에게 약속한(창세기 15장) 아모리인의 땅 즉, 가나안 땅으로 인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김성윤: 성경의 파노라마 지금까지 노우호 목사님 이었습니다
'성경공부 > 구약의파노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시내산에서 맺은 언약 (0) | 2007.10.08 |
---|---|
31. 홍해가 갈라지다 (0) | 2007.10.08 |
29. 애굽으로부터 탈출 (0) | 2007.10.08 |
28. 하나님이 연출하신 드라마 (0) | 2007.10.08 |
27. 야곱의 어려운 날들 (0) | 2007.10.08 |